🔙뒤로가기

  1. 초기 발표 (2002년) 로드 존슨(Rod Johnson)이 'Expert One-on-One J2EE Design and Development'이라는 책에서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기본 아이디어를 제시.
  2. 스프링 프레임워크 1.0 (2004년) 처음으로 공식적으로 발표된 스프링 프레임워크 1.0은 핵심 원칙인 Inversion of Control(IoC)과 Dependency Injection(DI)를 포함, 이를 통해 개발자들은 더 쉽게 객체 간의 의존성을 관리할 수 있게 되었음.
  3. 스프링 프레임워크 2.0 (2006년) 2.0 버전에서는 XML 기반의 설정을 간소화하고, AOP(Aspect-Oriented Programming)을 향상시킴. 또한, Java 5의 새로운 기능들을 지원하기 시작함.
  4. 스프링 프레임워크 3.0 (2009년) 이 버전에서는 Java 기반의 설정 및 애노테이션을 도입하여, 개발자들이 더 쉽게 프레임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됨. 또한, RESTful 웹 서비스 지원, 스프링 표현 언어(EL) 도입, 스프링 MVC 향상 등 많은 개선 사항이 포함됨.
  5. 스프링 프레임워크 4.0 (2013년) Java 8의 새로운 기능들을 지원하고, 웹 소켓 지원, 기본 Java EE 7 스펙 지원 등이 추가됨. 성능 최적화와 기능 개선에 많은 노력이 기울여짐.
  6. 스프링 프레임워크 5.0 (2017년) 이 버전에서는 리액티브 프로그래밍 모델을 도입하여, 비동기 처리 및 병렬 작업에 더욱 강력한 지원을 제공함. 스프링 5는 Project Reactor를 통해 리액티브 스트림 스펙을 구현하였고, 이를 기반으로 WebFlux 모듈을 도입하여, 비동기 및 논블로킹 웹 애플리케이션을 구축할 수 있게 됨. 또한 Java 9 및 kotlin 지원, 함수형 프로그래밍 스타일을 위한 함수형 스프링 개발, 그리고 JUnit 5 지원 등 다양한 기능 개선이 이루어짐.

이러한 발전 과정을 통해 스프링 프레임워크는 지속적으로 발전하며, 현재도 많은 자바 개발자들이 선호하는 주요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자리 잡고 있다. 이에 따라 스프링 프레임워크의 생태계도 확장되어 다양한 서브 프로젝트와 모듈이 함께 발전하고 있다.